자료 설명
『반대어 인지하기』는 아동이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낱말을 중심으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반의어)를 놀이하듯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된 워크북입니다. 그림과 보기 단어를 바탕으로 반대말을 찾고, 동그라미 치고, 스티커를 붙이는 활동을 통해 아동의 어휘력, 의미 파악 능력,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키도록 돕습니다. 1. 어휘 이해력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에 상응하는 반대 의미를 가진 단어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아동이 어휘 의미 간 관계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춥다-덥다”, “크다-작다”, “있다-없다” 등 반대 의미의 기본 어휘부터 추상적 어휘(예: 슬프다–기쁘다, 달콤하다–시다)까지 아동의 어휘 폭과 이해 깊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언어적 사고력 / 유추력 ‘보기’ 속 단어의 의미를 바탕으로 유사한 항목 중 의미적으로 반대되는 개념을 유추하는 능력을 통해 언어적 유추력, 논리적 사고력이 평가됩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의미를 바르게 연결하는지, 혼동하거나 비논리적인 선택을 하는지 등을 통해 인지적 유연성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분류 및 개념 구별 능력 의미상 대조되는 개념을 찾아내는 것은 분류 및 개념화 능력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아동이 개념을 얼마나 구체적으로 구분하고 조직화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문장 구성, 글쓰기, 상황 유추 등의 고차 언어 활동으로 연결됩니다. 4. 어휘 인출 및 명명 능력 일부 과제에서는 단어 스티커를 직접 찾아 붙이는 활동도 포함되어 있어, 단어를 보고 듣고 나서 자신이 아는 어휘를 말하거나 찾아내는 명명 능력, 언어 처리 속도, 작업 기억력 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습니다. 5. 기초 문해력의 준비도 반의어 개념은 초등 저학년 문해력과 국어 어휘 학습의 기초입니다. 이 활동은 문장 속에서 정확히 단어를 해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기초 단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됩니다. 6. 정서 및 감정 어휘 인식 '기쁘다-슬프다', '좋다-싫다', '소리치다-조용하다'와 같은 감정 관련 반의어는 아동의 감정 인식 능력과 정서 어휘 사용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서표현이 부족한 아동의 경우 이 영역에서 오답률이 높거나 추측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 <부록>프린터스티커라벨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지은이: 진찌니쌤 (By Jin jin hee)
미리 보기






해당 자료 또는 사용된 리소스의 저작권 도용/침해가 의심된다면 즉각적으로 리포트 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치는 크리에이터 여러분들의 소중한 재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만치 회원님들의 리포트가 없더라도 상시 업로드 자료의 저작권 도용/침해 여부를 모니터링합니다.
1) 표절이라고 신고하는 근거 또는 출처(url)를 반드시 입력해 주세요.
2) 신고 접수 건은 만치 관리자가 확인하여 처리 결과를 신고자에게 이메일로 회신드립니다.
3) 비회원의 경우 만치 고객 센터 cs@themanchi.com로 신고 내용을 보내주시면 처리 결과를 이메일로 회신드립니다.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