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설명
부록(가정 연계자료) 보호자와 함께 할 수 있는 일상 적용 활동지, 부모 가이드 <자료 소개> 본 워크북은 의미발달 및 화용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2-4세 언어발달 지연 아동을 위한 그룹 언어치료 전용 활동 책입니다. 치료실과 가정에서 모두 활용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상징놀이, 역할놀이, 감정 표현, 또래와의 간단한 주고받기 대화 등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핵심 목표로 합니다. 직접 임상경험을 통해 그룹언어치료를 실시한 것을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 활동 하나하나에 임상적 경험과 영유아의 발달 특성을 반영한 치료 전략이 담겨 있으며, 보호자를 위한 연계 자료도 함께 제공되어 일상 속 말놀이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런 아동에게 추천해요. 언어발달에 지연이 있는 아이 다양한 어휘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아이 문장을 구성하여 말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아이 또래와 어울리는데 어려움이 있는 아이 또래와 어울리고 싶은데 어떻게 시작해야되는지 모르는 아이 내 생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아이 ***업로드 파일 크기 제한으로 화질이 안 좋을 수 있습니다. 고화질 해상도 원하시는분들은 구입인증 메일(dbw05176@naver.com)보내주시면 고해상도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자료 출처
• 김유진, & 김정완. (2019). 영유아 언어 발달과 중재. 서울: 학지사. • 권오순. (2021). 발달지연 유아 언어중재 연구 동향 분석. 언어치료연구, 30(2), 101-120. • 박은혜. (2018). 영유아기 뇌 발달과 언어 환경. 유아교육연구, 38(3), 55-73. • 신영희, & 이선아. (2003). 어머니 반응성과 아동 언어 발달 간의 관계. 특수교육학연구, 38(2), 231-250. • 유은정, & 최영숙. (2015). 또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훈련 효과. 아동학회지, 36(4), 87-104. • 윤혜련, & 이지희. (2007). 집단 언어치료가 언어 및 사회적 기술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학연구, 12(1), 67-84. • 이윤경. (2019). 영유아 의사소통 장애. 서울: 학지사. • 조여진, & 신영희. (2016). 부모참여 언어중재가 말늦은 아동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8(3), 145-164. 김정미&신희선(2010). 『K-CDI 아동발달검사-전문가 지침서』, 서울: 인싸이트. 김정미, & 신희선 (2011). 『KCDR-R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전문가 지침서』, 서울: 인싸이트. 방희정&남민&이순행(2019).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기술지침서』, 서울: 인싸이트. 신희선&한경자&오가실&오진주&하미나(2002).『한국형 DenverⅡ검사지침서』,서울:현문사. 장혜성&서소정&하지영(2009).『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서울:학지사심리검사연구소.
미리 보기








해당 자료 또는 사용된 리소스의 저작권 도용/침해가 의심된다면 즉각적으로 리포트 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치는 크리에이터 여러분들의 소중한 재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만치 회원님들의 리포트가 없더라도 상시 업로드 자료의 저작권 도용/침해 여부를 모니터링합니다.
1) 표절이라고 신고하는 근거 또는 출처(url)를 반드시 입력해 주세요.
2) 신고 접수 건은 만치 관리자가 확인하여 처리 결과를 신고자에게 이메일로 회신드립니다.
3) 비회원의 경우 만치 고객 센터 cs@themanchi.com로 신고 내용을 보내주시면 처리 결과를 이메일로 회신드립니다.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